안 그래도 이따금 출연하는 드라마 장르 영화를 제외하면 B 영화 장르를 중심으로 활약해온 배우가 B 영화는 아니어도 싸늘한 분위기와 맥거핀이 난무하는 유형의 스릴러의 '제작'에 참여했다는 게 범상치 않다. 영화를 촬영하던 시절 엠버 허드는 한국 나이로 겨우 25살. 정말 당찬 배우란 생각이 들 수밖에 없고, 그녀가 이 영화의 제작에 참여한 이유가 궁금해진다.
<다크니스>는 좋은 작품과 꽤 거리가 있다. 개성은 있지만, 그게 단점을 덮지 못하고, 영화의 성향에 맞는 개성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먼저 이 영화는 힘겹게 쌓아 올린 불신 요소들과 맥거핀을 후반부에 대부분 초기화하고 탈출기에 올인하는데, 탈출 과정에서 쾌감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지독한 고통도 없고, 긴장감을 잔뜩 주는 설정도 없다. 오프닝에서 보여줬던 전기 고문 장면마저 아무 역할을 하지 않아 허무할 뿐이다.
심지어 이 영화는 맥거핀으로 활용된 캐릭터뿐 아니라 주인공인 오데트 유스트먼(오데트 애나벨)마저도 아무 의미 없이 소비한다. 특별 출연인 칼 어번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오데트가 그렇게 소비된 것은 극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안 그래도 허술함의 극치를 달리는 악당들의 모습을 보며 허탈한 마당에 캐릭터의 소비까지 겹쳐 반전마저도 흐지부지됐다는 점을 보아서 애초에 각본에 문제가 있었거나 감독이 각본을 수정 혹은 연출하는 과정에서 뭔가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른 것 같다.
이렇게 스릴러로서 제 역할을 못하는 영화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개성은 분명히 있는 영화다. 애초에 엠버 허드와 오데트 유스트먼의 비주얼만으로도 개성일 수 있는데, 두 배우는 남미의 강렬한 태양광 아래에서 시원한 복장으로 햇볕을 즐긴다. 중반에 가선 아예 수영복만 입고 선탠을 즐기는 모습이 나오니 연출에서 노렸다고 봐야 옳을 것 같다. 두 배우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배우조차 없다는 점이 묘하게 대비되는 느낌이다.
이런 남성에게 영향을 주는 개성 말고 다른 훌륭한 요소를 찾아보라면, 영상과 분위기가 있을 수 있다. 지나칠 정도로 차분하게 가라앉은 분위기는 영화 중반까지 극의 재미를 보장한다. 스테파니(엠버 허드 분)가 친구를 찾아 헤매는 과정을 연출할 때까지 꽤 재미있게 느껴진 건 음악과 연출 구도로 만들어낸 분위기가 분명히 한몫을 했다. 게다가 영상이 정말 멋지다. 남미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비추기 때문이 아니다. 내리쬐는 태양 빛과 자연을 화려하게 수놓았던 영상은 영화가 점차 차분한 분위기로 진행되며 주변 인물들 가운데 믿을 사람이 하나도 없는 상황과 마주하자 점차 차가운 영상으로 변한다. 주요 캐릭터가 모여 핵심적 이야기를 전하는 장면 직전까지 계속해서 변하던 영상은 끝내 '흑백'에 가까운 영상에 도달한다. 마치 따뜻한 남미의 아름다움 속에 숨어 있는 공포를 표현하는 것처럼.
엠버 허드가 거창하게 뭔가 해보려고 했던 영화로 보이진 않고, 어쩌면 엠버 허드 자신도 실험작으로 여겼을 수도 있다. 사실, 그녀의 네임밸류를 생각해보면 대규모 영화의 여자 주인공으로 나서도 아무 이상이 없을 텐데, 그녀 자신이 일부러 피하는 느낌마저 들어 신기하다. <럼 다이어리>, <더 플레이보이 클럽>, <파라노이아>과 같이 그녀답지 않은(!) 영화도 예정되어 있으나 <마셰티 킬즈>로 또 B 영화의 여신으로 돌아온다고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